[공부] Git 정리 - 팀 프로젝트
2022. 5. 2. 20:38
공부/공통
📖 Git 정리 - 실습 Pull Request Fork Fork를 통해, 자신의 원격저장소로 원본 원격저장소를 통째로 복사해 가져간다. Fork하는 이유 다른 사람이 작성한 코드를 수정했으면 좋겠다고 요청을 할때 사용한다. 팀 프로젝트를 진행시 필요한 사전작업이다. Clone Fork로 생성된 자신의 원격저장소를 내 컴퓨터의 로컬저장소에 Clone한다. git bash 프로그램으로 Clone을 진행한다. # Git Bash $ git clone [원본 원격저장소를 복사하여 나의 원격저장소에 생성된 저장소의 URL] 로컬저장소와 Clone을 진행한 원격저장소가 자동으로 origin이라는 이름으로 연결되어 있다. 확인해보려면,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해서 확인한다. # Git Bash $ git remo..
[공부] git 정리 -3
2022. 3. 6. 22:13
공부/공통
📖 git 특정 파일을 누가 수정했는지 확인하기 : git blame 확인되는 내용 hash, 작성자 이름, 작성일시,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다. 옵션 임시 저장 공간 : stash 명령어(modified 파일) 작업한 내용은 stash 공간에 저장되고, modified 전 상태로 파일이 복구된다. 명령어(unstacked 파일) 작업한 내용은 stash 공간에 저장되고, 파일이 사라진다.(stash 공간으로 이동해서 사라짐) stash 공간에 저장된 파일들 확인하기 stash 명을 확인 할 수 있다. stash 공간에 저장된 파일 불러오기 stash 파일 삭제하기 branch 생성, 수정, 삭제, 이동 이해 branch는 branch 간에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, repository 안에 있는 독립적..
[공부] git 정리 -2
2022. 3. 4. 20:09
공부/공통
📖 git commmit hash값 확인하기 : reflog 기본적으로 commit의 hash값을 알 수 있고, HEAD@{숫자}를 입력하여, commit hash 대신으로 사용할 수 있다. main, HEAD (HEAD → main) 이라는 문구는, HEAD가 main을 참조하고 있다는 뜻이며, main은 해당 commit을 참조하고 있다는 뜻이다. commit한 파일 삭제하는 2가지 방법 파일 삭제 후 commit : reset 기존에 commit 했던 이력이 남음 commit 하기 전 상태로 복구하고, commit하기 기존에 commit 했던 이력도 삭제된다. 옵션 working dir staging area repository 기존에 만든 파일 --hard 변경 변경 변경 삭제 --mixed(생략..
[공부] git 정리 -1
2022. 2. 28. 21:46
공부/공통
📖 git 프로그램 설치 Visual Studio Community git & gitBash 로컬 저장소 생성 로컬 저장소 생성 : git init 해당 폴더에 .git폴더가 생긴다. * 파일이 삭제되어도, 로컬 저장소에 저장(commit)을 했다면 복구가 가능하다. 그러나 .git폴더도 삭제되었을 경우에는 복구가 불가능하다. 로컬 저장소 사용자 설정 git config를 이용해 설정 사용자 설정 확인 : git config --list * q를 누르면 나갈 수 있다. 전체 로컬 저장소 사용자 설정 --global 옵션을 추가하여, default 값으로 로컬 저장소 사용자 설정을 할 수 있다. 명령어 정리 1. 폴더 생성 : mkdir [폴더명] 2. 파일 생성 : touch 파일명.파일확장자 3. 현재..